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 읽는다
그(최광)의 집은 가난했으나 배우기를 즐겨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외웠으며 다른 이에게 글을 필사해주는 일을 해 부모를 봉양하였다. 최광은 이렇듯 열심히 학문에 정진하였고 후에 큰 벼슬을 지냈다고 한다. 유사한 …
군자삼락
군자에게는 세가지 즐거움이 있으니 천하에 왕노릇하는 것은 여기에 있지 않다.
부모형제가 살아 계시고 탈 없음이 첫번째 즐거움이요,
하늘과 남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 두번째 즐거움이요,
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하는 것이 세번째 즐거움이다.
<맹자(孟子), 진심편(盡心篇)>
그(최광)의 집은 가난했으나 배우기를 즐겨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외웠으며 다른 이에게 글을 필사해주는 일을 해 부모를 봉양하였다. 최광은 이렇듯 열심히 학문에 정진하였고 후에 큰 벼슬을 지냈다고 한다. 유사한 …
‘반포지효’의 유래는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까마귀는 봉양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린 까마귀가 자라 성숙한 후에도, 늙은 부모 까마귀를 잊지 않고 돌봅니다. 자식 까마귀는 어미에게 먹이를 가져다주며, 그 사랑과 은혜에 …
시험범위 문항 및 배점 문제 유형 한자능력검성시험 및 대학수학능력 한문영역 문제 유형으로 출제 한자능력검정시험 문제 예시 ※ 한자의 뜻과 음으로 바른 것을 고르시오. ※ 뜻과 음에 맞는 한자를 고르시오. 대학수학능력시험 …
‘각골난망(刻骨難忘)’은 매우 깊이 새겨져 잊기 어려움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뼈에 새겨져 잊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특히 깊은 인상이나 감동을 받은 사건을 잊을 수 없을 때 사용됩니다. 예로부터 중요한 사건이나 인물의 …
과유불급(過猶不及)은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공자의 제자인 자로가 군자(君子)의 덕을 묻자, 공자는 “지나치게 함과 모자라게 함은 모두 잘못이다”라고 답했습니다. 이는 어떤 일에서든 지나치거나 부족하지 않고 적절한 정도를 유지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