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4. 어리석은 사람 愚人

•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선인들의 지혜를 마음에 새겨 건전한 가치관을 기르기
• 한자 성어의 속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활용하기
• 일상에서 쓰이는 한자 성어의 뜻을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활용하기


守株待兎 (수주대토) – Sticking to Old Habits Hoping for Luck

  • 守 (수): 지킬 / Keep, guard
  • 株 (주): 기둥, 그루터기 / Tree stump
  • 待 (대): 기다릴 / Wait
  • 兎 (토): 토끼 / Rabbit

📌 뜻 :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림.
→ 고지식하게 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발전하지 못하는 어리석음

📌 예문: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과거 방식만 고집하는 것은 수주대토와 같다.


畫蛇添足 (화사첨족) – Ruining Things by Overdoing

  • 畫 (화): 그릴 / Draw
  • 蛇 (사): 뱀 / Snake
  • 添 (첨): 더할 / Add
  • 足 (족): 발 / Foot

📌 뜻 : 뱀을 그리고서 발을 더함.

→ 쓸데없는 일을 하여 도리어 잘못되게 함

📌 예문:
이미 완성된 작품에 덧칠을 하다니, 화사첨족이라는 말이 딱 어울린다.


刻舟求劍 (각주구검) – Inflexible Thinking, Missing the Point

  • 刻 (각): 새길 / Carve
  • 舟 (주): 배 / Boat
  • 求 (구): 구할 / Seek
  • 劍 (검): 칼 / Sword

📌 뜻: 배에 새겨 칼을 찾음.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

📌 예문:
시장 흐름을 고려하지 않고 예전 전략만 고집하는 것은 각주구검과 같다.


愚公移山 (우공이산) – Perseverance Moves Mountains

  • 愚 (우): 어리석을 / Foolish
  • 公 (공): 늙은이 / Old man
  • 移 (이): 옮길 / Move
  • 山 (산): 산 / Mountain

📌 뜻: 우공이 산을 옮김.

→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

📌 예문:
그는 우공이산의 정신으로 수십 년간 연구를 계속해 마침내 성과를 얻었다.

뛰어난 재주를 뜻하는 성어

누군가의 어리석음을 꾸짖는 성어와 반대로 남보다 특별히 뛰어난 사람이나 그런 재주를 뜻하는 성어도 우리 생활에 자주 쓰인다.

壓卷 (압권) – Best of the Collection

압권’은 여러 작품 중에서 가장 뛰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고대 중국의 관리 등용 시험에서 가장 우수한 답안지를 다른 답안지 위에 올려놓았다는 데서 유래하였습니다.

  • 壓 (압): 누를 / Press, surpass
  • 卷 (권): 책 / Book, volume

📌 뜻: 여러 작품 중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을 이르는 말.
📌 예문: 그의 시는 이번 문학지에서 압권이라 불릴 만큼 인상적이었다.


破天荒 (파천황) – Unprecedented, First of Its Kind

‘파천황’은 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내는 것을 뜻합니다. 이 표현은 중국 송나라 손광헌(孫光憲)의 ‘북몽쇄언(北夢瑣言)’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당나라 때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없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자 이를 ‘천황을 깼다’는 의미로 ‘파천황’이라 불렀습니다. 천황’이란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때의 혼돈한 상태입니다.

  • 破 (파): 깨뜨릴 / Break
  • 天 (천): 하늘 / Heaven
  • 荒 (황): 거칠, 황무지 / Wild, barren

📌 뜻: 이전에는 없었던 일, 전례가 없는 일을 처음으로 함.
📌 예문: 그녀는 학교 역사상 최초로 수학에서 만점을 받아 파천황의 기록을 세웠다.


拔群 (발군) – Outstanding, Exceptional

‘발군’은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히 뛰어남을 의미합니다. ‘발(拔)’은 ‘뽑아 내다’는 뜻을 지니고 있으며, ‘발군’은 여러 사람 중에서 특히 뛰어남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 拔 (발): 뽑을 / Pull out, excel
  • 群 (군): 무리 / Group

📌 뜻: 무리 가운데서 뛰어나게 두드러짐.
📌 예문: 그는 발군의 실력으로 경쟁자들을 압도했다.


群鷄一鶴 (군계일학) – A Crane Among Chickens

  • 群 (군): 무리 / Flock
  • 鷄 (계): 닭 / Chicken
  • 一 (일): 하나 / One
  • 鶴 (학): 학 / Crane

📌 뜻: 여럿 가운데서 매우 뛰어난 인물.
📌 예문: 그의 재능은 마치 군계일학처럼 단연 돋보였다.


蓋世之才 (개세지재) – Talent to Overwhelm the World

‘개세지재’는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재능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중국 역사상 영웅으로 소개되는 항우(項羽)와 관련이 있습니다. 蓋世之才란 ‘力拔山 氣蓋世(역발산 기개세)’의 준말로 ‘힘은 산을 뽑고, 기운은 세상을 덮는다’라는 구절에서 따온 말입니다.

  • 蓋 (개): 덮을 / Cover, surpass
  • 世 (세): 세상 / World
  • 之 (지): ~의 / Of
  • 才 (재): 재능 / Talent

📌 뜻: 세상을 압도할 만큼 뛰어난 인재.
📌 예문: 그는 어려서부터 개세지재라 불릴 만큼 영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