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과 농부의 지혜 1차시 不言長短 남의 장단점을 말하지 않는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는 신중한 언행을 중요하게 여겼다. 신중한 언행으로 유명한 황희 정승의 逸話일화를 통해 말을 신중하게 해야 하는 理由이유를 생각해 보자. 나아가 자신의 平素평소 언어생활을 反省반성해 보고 선인들의 삶의 태도를 배워 보자.

逸話 (벗어날 일, 이야기 화) – Anecdotes (Exceptional Stories)

  • 逸: 숨을 (일) / Deviate, Escape
  • 話: 이야기 (화) / Talk, Story
  •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아니한 흥미 있는 이야기.
  • 예문: 그의 성공에는 많은 逸話가 있다. (There are many exceptional stories about his success.)
  • 理由 (이유, Reason)
  • : 이치 (이) / English: Logic, Reason
  • : 말미암을 (유) / English: Cause
  • 단어 뜻: 이치와 원인을 뜻하는 ‘이유’.
  • 예문: 이것이 내가 그렇게 행동한 이유입니다. (This is the reason I acted that way.)
  • 平素 (평소, Usually)
    • : 평평할 (평) / English: Flat, Level
    • : 희다, 본디 (소) / English: Plain, Simple
    • 는 색을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무슨 색일까요? 바로 흰색입니다. 흰색은 모든 색의 바탕이 되는 색이죠, 그렇기 때문이 이 글자는 ‘바탕, 본디’라는 의미가 파생되었습니다.
    • 단어 뜻: 보통 때, 평상시를 뜻하는 ‘평소’.
    • 예문: 평소에 그런 일을 하지 않습니다. (I don’t do such things usually.)
  • 反省 (반성, Reflect)
    • : 돌이킬 (반) / English: Opposite, Reverse
    • : 살필 (성) / English: Save, Conserve
    • 의 구성은 ‘少 적을 소’에 ‘目 눈 목’이 결합된 한자입니다. 사물을 자세히 보게되면 눈을 조그맣게 뜨게 되는 데 이런 형상을 참고하여 글자를 외우면 쉽게 숙지할 수 있습니다.
    • 단어 뜻: 자신의 잘못을 돌아보고 고치려는 생각인 ‘반성’.
    • 예문: 내 행동을 반성하고 있습니다. (I am reflecting on my behavior.)


본문 읽기

황희 정승이 벼슬하지 않았을 때의 일이다. 어느 날 황희가 길을 가다가, 농부가 소 두 마리를 몰아 밭을 가는 것을 보고는 농부에게 물었다.
“두 마리의 소 중에서 어느 것이 낫습니까?”
하니, 농부는 대답하지 않고 밭 갈기를 멈추고 와서, 귀에 대고 조그맣게 말하였다.
“이 소가 낫습니다.”
라고 하였다. 황희는 농부의 행동이 이해되지 않아 다시 물었다.
“무엇 때문에 귀에 대고 말합니까?”
하니 농부가 대답하였다.
“비록 가축이라도 그 마음은 사람과 같습니다..이것이 나으면 저것은 못한 것이니 소로 하여금 그것을 듣게 한다면 어찌 불평하는 마음이 없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황희는 크게 깨달아 다시는 남의 장단점을 말하지 않았다.

불언장단
不言長短 prompt by 한문쌤


附耳 (붙일 부, 귀 이) – Whisper (Attach to the Ear)

귀에 대고 조그맣게 말하는 것을 귓속말이라고 합니다. 귓속말을 한자어로 ‘부이어’라고 합니다.

  • 附: 붙을 (부) / Attach
  • 耳: 귀 (이) / Ear
  • 의미: 누군가의 귀에 속삭여 비밀이나 은밀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
  • 예문: 그는 나에게 附耳하여 중요한 정보를 전했다. (He whispered important information to me by attaching his mouth to my ear.)

大悟 (대오, Great Enlightenment)

크게 깨닫다는 말을 ‘대오각성’이라고도 하지요.

  • : 큰 (대) / English: Big, Great
  • : 깨달을 (오) / English: Realize, Enlighten
  • 단어 뜻: 크게 깨달음을 얻다. 일반적으로 심오한 진리나 원리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나 통찰력을 의미.
  • 예문: 그는 선배의 말씀을 듣고 큰 깨달음을 얻었다. (He achieved great enlightenment after listening to his senior’s words.)

윗 글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어구가 바로 ‘남의 장단점을 말하지 않는다’라는 부분입니다. 가장 핵심이 되고 주제라 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 원문으로 살필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교과서에서는 이 단원의 제목을 ‘불언장단’으로 표기하기도 하였습니다.

장단은 ‘길고 짧음’이라고 해석할 수 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장점과 단점으로 해석합니다. 장단을 영어로 표현하면 뭘까요? 처음에는 ‘good and bad’인가?라고 생각했는데 조사해 보니깐, ‘pros and cons’라고 하더군요.

한자
부정적인 표현, 아니다말씀, 언어긴, 장점, 장기간짧은, 단점, 단기간


愼言신중하게 말하기

내가 무심코 내뱉은 말이 親舊에게 傷處를 줄 수 있다. 아래 학생들의 이야기를 보고 말을 신중하게 해야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자.

  • “믿었던 친구가 다른 친구에게 제 험담하는 것을 들었어요. 게다가 제가 하지 않은 일까지 보태서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크게 失望한 적이 있어요.”
  • “저는 말할 때 습관적으로 비속어를 사용할 때가 있어요. 친구에게 나쁜 의도로 하는 것은 아닌데, 가끔 誤解를 받아서 곤란한 경험이 있었어요.”
  • “재미를 위해서 친구들끼리 많이 놀려요. 놀려서 더 친해지는 것 같다고 하지만, 상처를 받을 때도 있어요. 친구의 농담이 眞心일까 걱정되기도 해요.”

  • 愼言 (신언, Be careful with words)
    • : 조심할 (신) / English: Careful
    • : 말씀 (언) / English: Speak
    • 단어 뜻: 말을 조심하라는 의미의 ‘신언’.
    • 예문: 상황이 긴박하니 신언하길 바랍니다. (The situation is tense, so be careful with your words.)
  • 親舊 (친구, friends)
    • : 친할 (친) / English: Close, Intimate
    • : 옛 (구) / English: Old, Former
    • 단어 뜻: 오래된 친구를 의미하는 ‘친구’.
    • 예문: 그는 나의 친구입니다. (He is one of my old friends.)
  • 傷處 (상처, Wound)
    • : 다칠 (상) / English: Wound, Hurt
    • : 곳 (처) / English: Place, Location
    • 단어 뜻: 몸이나 마음에 생긴 상처인 ‘상처’.
    • 예문: 그 말은 나의 상처에 소금을 뿌린 것 같았다. (That remark felt like salt in my wound.)
  • 失望 (실망, Disappointment)
    • : 잃을 (실) / English: Lose
    • : 바랄 (망) / English: Hope, Wish
    • 단어 뜻: 희망이 깨지는 것, 기대에 어긋나는 ‘실망’.
    • 예문: 그 결과에 실망했습니다. (I was disappointed with the result.)
  • 誤解 (오해, Misunderstanding)
    • : 그릇될 (오) / English: Mistake, Error
    • : 풀 (해) / English: Unravel, Solve
    • 단어 뜻: 잘못 이해하는 것인 ‘오해’.
    • 예문: 나의 말을 오해하지 말아 주세요. (Please don’t misunderstand my words.)

眞心 (진심, Sincere Heart)

  • : 참 (진) / English: True, Genuine
  • : 마음 (심) / English: Heart, Mind
  • 단어 뜻: 진실한 마음, 솔직하고 거짓이 없는 마음
  • 예문: 그녀는 진심으로 사과했다. (She apologized with a sincere heart.)

다른 사람의 장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말아햐하는 이유

사람들은 각자의 개성과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가치와 존엄성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때때로 우리는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비교하거나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때로는 불필요한 경쟁과 부정적인 감정을 일으키며, 개인의 존엄성을 침해할 수 있습니다.

황희의 이야기에서 농부는 소 한 마리가 다른 소보다 더 낫다고 말함으로써, 소가 불평하거나 상처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줍니다. 이는 동물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감정과 존엄성을 인정하는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사람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원칙이 적용됩니다.

다른 사람의 장단점을 함부로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의 존엄성을 침해하고, 그들이 가진 독특한 가치와 능력을 무시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는 그 사람이 자신의 능력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게 하고, 자신감을 잃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장단점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첫걸음입니다.

형성평가 미션 284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