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논어 ‘효란 부모에 대한 사랑과 감사. 無違以禮’〈爲政〉 제5장

주제 구절: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樊遲御,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


1. 에피소드

“선생님, 효도는 꼭 부모님 말씀을 다 들어야 하는 거예요?”

가정의 달 5월 어버이 날에 즈음하여 중학교 3학년 자유탐구 시간, ‘가정과 나’라는 주제 발표에서 한 학생이 질문했다.
그 학생의 발표 주제는 ‘현대 사회에서 효란 무엇인가’였고, 발표 마지막에 이 질문을 던졌다.

나는 잠시 조용히 생각한 뒤 말했다.
“효라는 건 단순히 말 잘 듣는 게 아니라,
그분의 삶을 존중하고, 나의 방식으로 사랑하는 거란다.”

그리고 나는 오늘의 논어 구절을 칠판에 적었다.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맹의자가 공자에게 효를 묻자, 공자는 ‘무위’라고 답했다.

학생들은 고개를 갸우뚱했다.
“무위가 뭐예요? 아무것도 하지 말라는 뜻인가요?”

나는 미소 지으며 설명을 시작했다.
“‘무위’는 ‘어기지 않는다’는 뜻이야.
부모가 살아계실 때는 예(禮)로 모시고,
돌아가신 뒤에도 예로 장례하고 제사 지내는 것.
그게 공자가 말한 ‘효’야.”

학생들은 다시 묻는다.
“예로 모신다는 건 어떤 걸 말해요?”
나는 답했다.
“말을 함부로 하지 않고, 마음을 다해 인사하고,
돌봄과 감사를 표현하는 모든 게 예야.
그게 효의 구체적인 모습이지.”

그날 이후 교실에는 부모님께 감사 편지를 쓰는
작은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누군가는 어색하게,
누군가는 조용히 감정을 담아 한 글자씩 적었다.

공자의 말씀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효는 ‘예의’를 통해 실천되며,
‘마음’을 표현하는 방식은 시대가 달라도 변하지 않는다.


2. 풀이 (passage explanation & Korean translation)

원문풀이
孟懿子問孝맹의자가 공자에게 효도를 묻자
子曰, 無違공자가 대답하기를 “(부모의 뜻을) 어기지 말라”고 하였다
樊遲御, 子告之曰번지가 수레를 몰 때, 공자는 그에게 말했다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맹손이 나에게 효를 물었는데, 나는 ‘무위’라고 대답하였다”
樊遲曰, 何謂也번지가 묻기를 “무위란 무엇을 의미하십니까?”
子曰, 生事之以禮“살아 계실 때에는 예로써 봉양하고,”
死葬之以禮“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하며,”
祭之以禮“제사를 예로써 지내는 것이다”

해설

  • 無違(무위): ‘어기지 않음’으로, 부모의 뜻과 사회적 예를 조화롭게 지키는 행위
  • 以禮(이례): ‘예로써’, 모든 효의 실천은 예의 범절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
  • 공자는 효를 감정이나 맹목적 복종이 아니라,
    예에 바탕을 둔 구체적 행동 양식으로 제시함

3. 현대적 의의 (modern relevance/significance)

✅ 1. 효는 전통이 아니라 관계의 본질

  • ‘효’는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부모 말씀에 복종’으로 이해되었다.
  • 그러나 공자는 예의와 진심을 기반으로 효를 실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 단순히 ‘말을 듣는 것’보다
    상대의 존재를 예로써 존중하는 것이 진짜 효라는 의미이다.

✅ 2. 예(禮)의 현대적 해석

  • 현대 사회에서 예는 형식적인 절차가 아니라
    존중의 표현 방식이다.
  • 예를 통한 효란 다음과 같은 실천에서 드러난다:
    • 부모님께 감사 인사 전하기
    • 불편함을 세심하게 살피기
    • 고집보다는 대화로 설득하기
    • 제사를 꼭 지내지 않더라도, 마음을 담은 기념의 방식 찾기

✅ 3. ‘무위’의 확장된 의미

  • ‘무위’는 단지 부모의 말에 맞추라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가치와 인생을 존중하면서 내 삶에 맞게 해석하는 태도이다.
  • 즉, ‘무엇을 그대로 따르느냐’보다
    ‘무엇을 어기지 않으려 하는 마음’이 핵심이다.

✅ 4. 학교 교육에서 효의 실천 방안

활동명내용
감사 편지 쓰기부모님 또는 조부모님께 진심을 담은 편지 작성
가족 인터뷰부모님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나 삶의 태도를 듣고 공유
효도 프로젝트일주일간 부모님께 감사 행동 실천하기 (설거지, 대화, 산책 등)
전통 예절 배우기현대적 해석과 함께 전통 장례, 제사의 의미를 탐구함

4. 원문 (original Classical Chinese text)

孟懿子問孝.
子曰, 無違.
樊遲御, 子告之曰,
“孟孫問孝於我, 我對曰, 無違.”
樊遲曰, “何謂也?”
子曰,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祭之以禮.”
—《論語》 〈爲政〉 第5章 (LY0205)


5. 한자의 음과 뜻 (pronunciation and meaning of key characters)

한자
孟懿子맹의자노나라 대부로, 공자에게 자주 질문한 인물
묻다
부모에게 예를 다함
공자
말하다
없다, 하지 말다
어기다, 거스르다
樊遲번지공자의 제자
수레를 몰다
알리다
이르다, 말하다
生事생사살아 계실 때 섬김
死葬사장돌아가셨을 때 장례
제사 지내다
그를, 그것을
以禮이례예로써 하다

🌟 오늘의 한 줄 정리

“효는 단지 복종이 아니다.
존중과 예의를 통해 부모의 삶을 이해하고 기리는 것이 진짜 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