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人無遠慮 必有近憂 (인무원려 필유근우)
- 人 (인): 사람
- 無 (무): 없다
- 遠 (원): 멀다
- 慮 (려): 생각 / 遠慮(원려) : 먼 앞날을 생각함
- 必 (필): 반드시
- 有 (유): 있다
- 近 (근): 가깝다
- 憂 (우): 근심 / 近憂 (근우): 가까운 걱정, 눈앞의 근심
📌 뜻풀이: 사람이 앞날을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눈앞에 반드시 걱정이 생기게 된다는 말.
📌 예문식 해석: 앞을 내다보는 지혜가 없으면, 당장 어려움을 겪게 된다.
7. 己所不欲 勿施於人 (기소불욕 물시어인)
- 己 (기): 자기
- 所 (소): ~하는 것
- 不 (불): 아니다
- 欲 (욕): 하고자 하다, 원하다 / 不欲 (불욕): 원하지 않다
- 勿 (물): 말라
- 施 (시): 베풀다, 행하다
- 於 (어): 어조사 / ‘~에’
- 人 (인): 사람 / 於人 (어인): 다른 사람에게
📌 뜻풀이: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남에게도 하지 말라는 말. (공자의 가르침, 황금률 중 하나)
📌 예문식 해석: 내가 싫은 일은 남에게도 하지 않는 것이 바른 행동이다.
8. 江山萬古主 人物百年賓 (강산만고주 인물백년빈)
- 江山 (강산): 강과 산, 나라
- 萬古 (만고): 아주 오랜 세월
- 主 (주): 주인
- 人物 (인물): 사람
- 百年 (백년): 인간의 수명
- 賓 (빈): 손님
📌 뜻풀이: 강산은 오랫동안 그대로 남지만, 사람은 백 년 살다 가는 손님일 뿐이라는 뜻.
📌 예문식 해석: 자연은 영원하지만 사람은 잠시 머물다 가는 존재임을 되새겨야 한다.
9. 春若不耕 秋無所望 (춘약불경 추무소망)
- 春 (춘): 봄
- 若 (약): 만약
- 不 (불): 아니다
- 不 (경): 밭 갈다 / 不耕 (불경): 밭을 갈지 않으면
- 秋 (추): 가을
- 無 (무): 없다
- 所 (소): 것
- 望 (망): 바랄 / 無所望 (무소망): 바랄 것이 없다
📌 뜻풀이: 봄에 씨를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수확을 기대할 수 없다는 뜻.
📌 예문식 해석: 노력 없이 얻을 수 있는 것은 없으니, 지금 뿌리지 않으면 가을에 열매를 거둘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