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야독(晝耕夜讀)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 읽는다

주경야독 @한문쌤

그(최광)의 집은 가난했으나 배우기를 즐겨 낮에는 밭을 갈고 밤에는 책을 외웠으며 다른 이에게 글을 필사해주는 일을 해 부모를 봉양하였다. 최광은 이렇듯 열심히 학문에 정진하였고 후에 큰 벼슬을 지냈다고 한다. 유사한 의미로 쓸 수 있는 말로 반딧불과 눈에 책을 비추어 공부한다는 형설지공(螢雪之功)이라는 성어가 있다.

晝 (낮 주)

한자 晝은 ‘대낮’이나 ‘정오’라는 의미한다. 이 글자는 日(해 일)자, 一(한 일)자, 그리고 聿(붓 율) 자가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日자는 ‘해’를 나타내며, 一자는 ‘하나’이라는 의미로, 이 경우에는 해가 하늘 한가운데 위치함을 상징합니다. 聿자는 ‘붓’을 의미하며, 이는 옛날에 시간을 기록하거나 계산하는 데 사용되던 도구를 상징한다. 따라서 晝는 해가 정오에 하늘 한가운데 위치하는 모습이다.

晝夜 (주야) – Day and Night

  • 晝 (주): ‘낮’ / Daytime
  • 夜 (야): ‘밤’ / Night
  • 단어의 뜻: 낮과 밤, 또는 하루를 의미하며, 시간의 연속성을 나타냄.
  • 예문: 그는 주야로 일하며 가족을 위해 헌신했다.

晝間 (주간) – Daytime

  • 晝 (주): ‘낮’ / Daytime
  • 間 (간): ‘사이’ / Interval
  • 단어의 뜻: 낮 동안의 시간대를 의미함.
  • 예문: 주간에는 업무를 보고, 저녁에는 운동을 한다.

白晝 (백주) – Broad Daylight

  • 白 (백): ‘흰, 밝을’ / White, bright
  • 晝 (주): ‘낮’ / Daytime
  • 단어의 뜻: 한낮의 밝은 시간, 대낮을 의미함.
  • 예문: 백주 대낮에 도둑이 침입한 사건이 발생했다.

耕 (밭갈 경)

한자 耕은 ‘밭을 갈다’나 ‘농사를 짓다’라는 의미를 가진 글자이다. 耒(가래 뢰)자와 井(우물 정)자가 결합하여 구성된 문자이다. 耒자는 농사를 짓는 데 사용되는 전통적인 농기구인 가래를 나타낸다. 井자는 우물을 의미하며, 물을 이용한 농업과 관련된 물 관리를 상징한다.

耕作 (경작) – Farming, Cultivation

  • 耕 (경): ‘밭 갈다’ / Cultivate, plow
  • 作 (작): ‘만들다’ / Make, work
  • 단어의 뜻: 땅을 갈아 농사를 짓는 활동.
  • 예문: 농부는 봄부터 열심히 경작을 시작했다.

農耕 (농경) – Agriculture, Farming

  • 農 (농): ‘농사’ / Agriculture
  • 耕 (경): ‘밭 갈다’ / Cultivate, plow
  • 단어의 뜻: 농업 활동, 특히 논밭을 갈고 씨를 뿌리는 일.
  • 예문: 농경 사회에서는 자연과의 조화가 중요했다.

耕田 (경전) – Plowing Fields

  • 耕 (경): ‘밭 갈다’ / Cultivate, plow
  • 田 (전): ‘밭’ / Field
  • 단어의 뜻: 논밭을 갈아 농사를 짓는 것.
  • 예문: 농부는 새벽부터 경전에 힘을 쏟았다.

夜 (밤 야)

한자 夜는 ‘밤’이나 ‘저녁 무렵’, ‘한밤중’이라는 의미를 가진 글자이다. 夕(저녁 석)자와 亦(또 역)자가 결합된 모습이다. 여기서 夕자는 저녁이나 해질 녘을 상징하며, 亦자는 ‘또’라는 의미를 가진다. 亦자의 갑골문을 보면 大(큰 대)자 양옆으로 점이 찍혀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사람의 겨드랑이를 가리키기 위해 만든 지사문자이다. 그러나 후에 亦자가 ‘또한’이나 ‘만약’, ‘단지’와 같이 다양한 문법적인 관계를 표현하게 되면서, 이 경우에는 밤의 연속성이나 반복되는 밤을 나타낼 수 있다.

除夜 (제야) – New Year’s Eve

  • 除 (제): ‘없앨’ / Eliminate, remove
  • 夜 (야): ‘밤’ / Night
  • 단어의 뜻: 한 해의 마지막 밤, 음력 새해 전날 밤을 의미.
  • 예문: 사람들은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며 새해를 맞이했다.

夜深 (야심) – Late at Night

  • 夜 (야): ‘밤’ / Night
  • 深 (심): ‘깊을’ / Deep
  • 단어의 뜻: 밤이 깊어진 시간대, 늦은 밤을 의미.
  • 예문: 야심에도 그는 책을 읽으며 시간을 보냈다.

夜半 (야반) – Midnight

  • 夜 (야): ‘밤’ / Night
  • 半 (반): ‘반’ / Half
  • 단어의 뜻: 밤의 한가운데, 자정 무렵을 의미.
  • 예문: 야반에 몰래 떠난 그의 소식은 아무도 몰랐다.

讀 (읽을 독)

讀은 ‘읽다’나 ‘이해하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言(말씀 언)자와 賣(팔 매)자가 결합하여 만들어졌다. 言자는 주로 언어와 관련되어 사용되고, 賣자는 원래 ‘팔다’라는 의미를 가진다. 賣자는 買(살 매)자와 出(날 출)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賣자에 쓰인 士(선비 사)자는 出자가 잘못 변형된 것으로 소전까지만 하더라도 出자가 쓰였다. (買(살 매)자는 网(그물 망)자와 貝(조개 패)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网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罒자로 바뀌게 되니 買자는 그물과 조개를 함께 그린 것이다.) 讀은 지식을 판다는 의미로 책을 읽다로 해석된다.

購讀 (구독) – Subscription (to a Book, Magazine, etc.)

  • 購 (구): ‘살’ / Purchase
  • 讀 (독): ‘읽다’ / Read
  • 단어의 뜻: 책이나 잡지, 신문 등을 정기적으로 구매하여 읽는 것.
  • 예문: 그는 매달 잡지 구독을 갱신하고 있다.

牛耳讀經 (우이독경) – Preaching to Deaf Ears

  • 牛 (우): ‘소’ / Cow
  • 耳 (이): ‘귀’ / Ear
  • 讀 (독): ‘읽다’ / Read
  • 經 (경): ‘경전’ / Scripture
  • 단어의 뜻: 아무리 말하거나 가르쳐도 전혀 효과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
  • 예문: 그의 충고는 우이독경처럼 아무도 귀담아듣지 않았다.

퀴즈풀기

Click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