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계묘년 2학기 한문시간 한시짓기 수행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업시간에 배운 두보의 <절구>시를 모티브로 한시를 지어보는 평가이다. 기구와 승구는 두보의 한시를 차구(次句)한다. ‘차두보절구기승구시(次杜甫絶句起承句詩)라는 제목은 이를 표현한 말이다. ‘ 두보는 기구와 승구에 선경후정의 방식을 활용하여 봄날의 풍경을 서술한다. 여기에 각자의 학생은 후정의 방식으로 봄날의 풍경에 이어 자신의 메시지를 한시로 표현하였다. 그 평가 결과 다음과 같은 3인을 장원급제로 선발하였다. 표기 순서를 학번 순이며 3명의 우열은 정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그리고 감상과 해설에는 교사의 피드백을 서술하였다.
장원급제 第1詩
黃砂(황사) – 1학년 2반 최○준

江碧鳥逾白(강벽조유백)
강은 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山靑花欲燃 (산청화욕연)
산이 푸르니 꽃은 더욱 불타오르네.
春雲撒黃坌 (춘운살황분)
봄 구름이 황사먼지를 흩뿌리니,
何季是晴天 (하계시청천)
언제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을까?
감상과 해설
봄날의 항사로 고통받아 맑은 하늘이 있는 계절이 왔으면 하는 바람을 시로 표현하였다.
세 번째와 네 번째 줄에서 시는 자연과 인간 세계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전환된다. “봄 구름이 황사먼지를 흩뿌리니, 언제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을까?”는 현대적인 환경 문제, 특히 황사의 영향을 시적으로 탐구했다. 이 구절은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감상과 함께 환경 변화에 대한 인간의 우려를 잘 반영했다.
전체적으로, 이 시는 전통적인 자연 묘사와 현대적인 환경 문제 사이의 균형을 잘 잡고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경험 사이의 상호 작용을 통해, 시는 독자에게 자연에 대한 깊은 사색과 현대 사회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동시에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는 전통적인 한시의 형식에 현대적인 요소를 통합하여, 시의 의미와 풍부함을 증가시키고 있다.
장원급제 第2詩
獨春願愛人(독춘원애인) – 1학년 5반 김○현

江碧鳥逾白(강벽조유백)
강은 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山靑花欲燃 (산청화욕연)
산이 푸르니 꽃은 더욱 불타오르네.
我恒居春獨 (아항거춘독)
봄날마다 나는 솔로,
願心愛人田 (원심애인전)
이왕이면 돈 많은 남자를 만나고 싶네.
감상과 해설
홀로 봄을 보내는 여인의 외로움 마음을 표현한 시로 전통적인 자연 묘사와 현대적인 개인적 욕망 사이의 긴장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마지막 두 구절에서는 갑작스럽게 시적 주제가 전환된다. “봄날 나는 항상 솔로이니”라는 구절은 자연의 묘사에서 개인적인 감정으로 넘어가며, 마지막 구절인 “돈 많은 남자를 만나고 싶구나”는 이전의 자연 묘사와는 상당히 대조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주제의 전환은 전통적인 한시의 구조와는 다소 어긋나 보일 수 있으며, 일부 독자에게는 뜻밖의 전환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또한 현대 사람들이 물질적 사랑을 비판적으로 표현하여 진실한 사랑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장원급제 第3詩
花粉症(화분증) – 1학년 9반 최○서

江碧鳥逾白(강벽조유백)
강은 푸르니 새는 더욱 희고,
山靑花欲燃 (산청화욕연)
산이 푸르니 꽃은 더욱 불타오르네.
吾鼻覆水潏 (오비복수율)
나의 코에서 다시 콧물이 나와
二穴紙防先 (이혈지방선)
얼른 두 콧구멍을 휴지로 막는다.
감상과 해설
봄바다 꽃가루 알레르기로 인한 괴로운 심정을 시로 표현함. 이 시는 전통적인 동양 시의 형식을 따르면서도 독특한 현대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 두 줄에서 시는 전통적인 경계를 벗어나,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요소를 도입했다. “나의 코에서 다시 콧물이 나와, 얼른 두 콧구멍을 휴지로 막는다”는 구절은 현대인의 생활과 건강 문제를 반영하며, 전통적인 자연 묘사와는 대조적인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환은 시에 유머와 현실감을 더해주며, 독자가 일상 생활과 연결 지을 수 있는 요소를 제공했다.
전반적으로, 이 시는 자연과 현대 생활 사이의 대조를 재치 있게 표현하며, 전통과 현대 사이의 균형을 찾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전통적인 한시의 형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성공하고 있으며, 독자에게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와 생각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