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구를 의미에 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알 수 있다.
- 한시를 바르게 풀이하고 내용과 주제를 설명할 수 있다

種花愁未發
(종화수미발)
→ 꽃을 심고도 피지 않을까 걱정하고,
한자 | 음 | 뜻 |
---|---|---|
種 | 종 | 심다 / To plant, sow |
花 | 화 | 꽃 / Flower |
愁 | 수 | 걱정하다, 근심하다 / Worry |
未 | 미 | 아직 아니다 / Not yet |
發 | 발 | 피다, 열리다 / Bloom, Open |
2 | 1 | 5 | 4 | 3 |
---|---|---|---|---|
種 | 花 | 愁 | 未 | 發 |
심다 (종) | 꽃 (화) | 근심 (수) | 아닐 (미) | 필 (발) |
花發又愁落
(화발우수락)
→ 꽃이 피면 또 질까 걱정하네.
한자 | 음 | 뜻 |
---|---|---|
花 | 화 | 꽃 / Flower |
發 | 발 | 피다 / To bloom |
又 | 우 | 또 / Again |
愁 | 수 | 근심하다, 걱정하다 / To worry |
落 | 락 | 지다 / To fall (wither, drop) |
1 | 2 | 3 | 5 | 4 |
---|---|---|---|---|
花 | 發 | 又 | 愁 | 落 |
꽃 (화) | 피필 (발) | 또 (우) | 근심 (수) | 떨어질 (락) |
開落摠愁人
(개락총수인)
→ 피고 지는 모든 일은 사람을 근심스럽게 하니
한자 | 음 | 뜻 |
---|---|---|
開 | 개 | 피다 / To bloom |
落 | 락 | 지다 / To fall, wither |
摠 | 총 | 모두, 전부 / All, altogether |
愁 | 수 | 근심하다, 슬퍼하다 / Worry, sorrow |
人 | 인 | 사람 / Person |
1 | 2 | 3 | 5 | 4 |
---|---|---|---|---|
開 | 落 | 摠 | 愁 | 人 |
열 (개) | 떨어질 (락) | 모두 (총) | 근심 (수) | 사람 (인) |
未識種花樂
(미식종화락)
→ 꽃 심는 즐거움을 아직 알지 못하겠네.
한자 | 음 | 뜻 |
---|---|---|
未 | 미 | 아직 ~하지 않다 / Not yet |
識 | 식 | 알다, 인식하다 / Know, recognize |
種 | 종 | 심다 / To plant |
花 | 화 | 꽃 / Flower |
樂 | 락 | 즐거움, 기쁨 / Joy, pleasure |
5 | 4 | 2 | 1 | 3 |
---|---|---|---|---|
未 | 識 | 種 | 花 | 樂 |
아닐 (미) | 알 (식) | 심을 (종) | 꽃 (화) | 즐거울 (락) |
🌸 종합 정리
種花愁未發, 花發又愁落, 開落摠愁人, 未識種花樂.
꽃을 심으며 피지 않을까 걱정하고,
피어나면 다시 질까 근심하네.
피고 지는 모든 것이 사람을 슬프게 하니,
나는 아직 꽃 심는 즐거움을 알지 못하겠네.
→ ‘種花[꽃을 심으며]’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꽃이 피어도 근심, 꽃이 져도 근심이지만 그래도 다시 꽃을 심고 있는 자신을 노래하고 있다. 이 네 구절은 희망 속의 불안, 삶의 무상함, 기쁨과 근심의 공존을 정서적으로 그려낸 시적 작품입니다.
→ 기다림·두려움·슬픔을 통해 오히려 인생과 자연의 이치를 반추하게 되는 감성적 시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