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박한 흙 내음과 선선한 바람, 가족의 웃음이 가득한 풍경은 우리의 마음을 더없이 편안하게 해 준다. 자연을 벗 삼고 풍류를 享有향유할 줄 알았던 선인들의 정서가 한 幅폭의 그림처럼 담긴 시를 감상해 보자.
淸江一曲 抱村流
(청강일곡 포촌류)
→ 맑은 강물이 굽이쳐 마을을 감싸 흐르네.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淸 | 청 | 맑다 / Clear |
江 | 강 | 강 / River |
一 | 일 | 하나 / One |
曲 | 곡 | 굽이, 굽다 / Bend, Curve |
抱 | 포 | 감싸다, 안다 / Embrace |
村 | 촌 | 마을 / Village |
流 | 류 | 흐르다 / Flow |
1 | 2 | 3 | 4 | 6 | 5 | 7 |
---|---|---|---|---|---|---|
淸 | 江 | 一 | 曲 | 抱 | 村 | 流 |
맑다 (청) | 강 (강) | 하나 (일) | 굽을 (곡) | 감싸다 (포) | 마을 (촌) | 흐르다 (류) |
長夏江村 事事幽
(장하강촌 사사유)
→ 긴 여름 강가 마을에는 모든 일이 그윽하구나.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長 | 장 | 길다 / Long |
夏 | 하 | 여름 / Summer |
江 | 강 | 강 / River |
村 | 촌 | 마을 / Village |
事 | 사 | 일 / Affairs, Matters |
事 | 사 | 일 (반복 강조) |
幽 | 유 | 그윽하다, 고요하다 / Serene, Tranquil |
1 | 2 | 3 | 4 | 5 | 6 | 7 |
---|---|---|---|---|---|---|
長 | 夏 | 江 | 村 | 事 | 事 | 幽 |
길다 (장) | 여름 (하) | 강 (강) | 마을 (촌) | 일 (사) | 일 (사) | 그윽하다 (유) |
自去自來 堂上燕
(자거자래 당상연)
→ 스스로 가고 스스로 오는 것은 집 위의 제비요.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自 | 자 | 스스로 / By oneself |
去 | 거 | 가다 / Go |
自 | 자 | 스스로 / By oneself |
來 | 래 | 오다 / Come |
堂 | 당 | 큰 집, 대청 / Hall |
上 | 상 | 위 / Above |
燕 | 연 | 제비 / Swallow (bird) |
1 | 2 | 3 | 4 | 5 | 6 | 7 |
---|---|---|---|---|---|---|
自 | 去 | 自 | 來 | 堂 | 上 | 燕 |
스스로 (자) | 가다 (거) | 스스로 (자) | 오다 (래) | 대청 (당) | 위 (상) | 제비 (연) |
相親相近 水中鷗
(상친상근 수중구)
→ 서로 친하고 서로 가까운 것은 물 가운데의 갈매기이로다.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相 | 상 | 서로 / Mutual |
親 | 친 | 친하다 / Be close |
相 | 상 | 서로 / Mutual |
近 | 근 | 가깝다 / Be near |
水 | 수 | 물 / Water |
中 | 중 | 가운데 / In the middle |
鷗 | 구 | 갈매기 / Seagull |
1 | 2 | 3 | 4 | 5 | 6 | 7 |
---|---|---|---|---|---|---|
相 | 親 | 相 | 近 | 水 | 中 | 鷗 |
서로 (상) | 친하다 (친) | 서로 (상) | 가깝다 (근) | 물 (수) | 가운데 (중) | 갈매기 (구) |
老妻畫紙 爲碁局
(노처화지 위기국)
→ 늙은 아내는 종이에 그려 바둑판을 만들고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老 | 노 | 늙다 / Old |
妻 | 처 | 아내 / Wife |
畫 | 화 | 그리다 / Draw |
紙 | 지 | 종이 / Paper |
爲 | 위 | ~을 위하여, 만들다 / To make, to be |
碁 | 기 | 바둑 / Go (game) |
局 | 국 | 판, 바둑판 / Board |
1 | 2 | 3 | 4 | 7 | 5 | 6 |
---|---|---|---|---|---|---|
老 | 妻 | 畫 | 紙 | 爲 | 碁 | 局 |
늙은 (노) | 아내 (처) | 그리다 (화) | 종이 (지) | 만들다 (위) | 바둑 (기) | 판 (국) |
稚子敲針 作釣鉤
(치자고침 작조구)
→ 어린 아들은 바늘을 두드려 낚싯바늘을 만드네.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稚 | 치 | 어리다 / Young |
子 | 자 | 아들 / Child, Son |
敲 | 고 | 두드리다 / Strike, Tap |
針 | 침 | 바늘 / Needle |
作 | 작 | 만들다 / Make |
釣 | 조 | 낚시 / Fishing |
鉤 | 구 | 갈고리, 낚싯바늘 / Hook |
1 | 2 | 3 | 4 | 7 | 5 | 6 |
---|---|---|---|---|---|---|
稚 | 子 | 敲 | 針 | 作 | 釣 | 鉤 |
어린 (치) | 아이 (자) | 두드리다 (고) | 바늘 (침) | 만들다 (작) | 낚시 (조) | 갈고리/낚싯바늘 (구) |
多病所須 唯藥物
(다병소수 유약물)
→ 병이 많아 꼭 필요한 것은 오직 약물이니.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多 | 다 | 많다 / Many |
病 | 병 | 병 / Illness |
所 | 소 | ~하는 것, ~하는 바 / That which |
須 | 수 | 필요하다, 요긴하다 / Require, Need |
唯 | 유 | 오직 / Only |
藥 | 약 | 약 / Medicine |
物 | 물 | 물건, 것 / Thing |
1 | 2 | 4 | 3 | 5 | 6 | 7 |
---|---|---|---|---|---|---|
多 | 病 | 所 | 須 | 唯 | 藥 | 物 |
많다 (다) | 병 (병) | ~하는 것 (소) | 필요하다 (수) | 오직 (유) | 약 (약) | 물건 (물) |
微軀此外 更何求
(미구차외 갱하구)
→ 이 보잘것없는 몸 외에,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 한자 풀이
한자 | 음 | 뜻 |
---|---|---|
微 | 미 | 작다, 보잘것없다 / Tiny, Humble |
軀 | 구 | 몸 / Body |
此 | 차 | 이 / This |
外 | 외 | 밖, ~이외에 / Beyond |
更 | 갱 | 더욱, 다시 / More, Further |
何 | 하 | 무엇 / What |
求 | 구 | 구하다, 바라다 / Seek |
1 | 2 | 3 | 4 | 5 | 6 | 7 |
---|---|---|---|---|---|---|
微 | 軀 | 此 | 外 | 更 | 何 | 求 |
보잘것없는 (미) | 몸 (구) | 이 (차) | 밖에 (외) | 더욱 (갱) | 무엇 (하) | 바라다 (구) |
🌿 시적 감상
「강촌」은 전란(戰亂)으로 외롭게 객지를 떠돌던 두보가 강촌에 터를 잡고,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게 된 현실에 만족하는 모습을 그린 시이다. 먼저 경치를 묘사하고, 나중에 자신의 마음을 전달하는 선경후정(先景後情)의 방식으로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