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강촌에 살고자 하네 <山中問答> 이백

問余何事棲碧山
(문여하사 서벽산)
→ 나에게 묻기를, 무슨 일로 푸른 산에 사는가?

한자
묻다 / Ask
나 / I, Me
무엇 / What
일 / Matter, Affair
깃들다, 머물다 / Dwell, Rest
푸르다 / Blue, Green
산 / Mountain
1234756
묻을 (문)나 (여)어찌 (하)일 (사)살 (서)푸를 (벽)산 (산)

🌿시상 전개 <기구>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한 삶을 선택한 이유를 묻는 사람들


笑而不答 心自閑
(소이불답 심자한)
→ 웃으며 대답하지 않아도, 마음은 저절로 한가롭다.

한자
웃다 / To smile or laugh
~하고, ~하며 / And (connecting word)
아니하다 / Not
대답하다 / Answer
마음 / Heart, Mind
스스로 / By itself
한가롭다, 평온하다 / Leisurely, Calm
1243567
웃을 (소)말이을 (이)아니 (불)대답할 (답)마음 (심)스스로 (자)한가할 (한)

🌿 시상 전개 <승구>

말 대신 웃음과 한가함으로 답하는 은자의 철학을 보임


桃花流水 杳然去
(도화유수 묘연거)
→ 복숭아꽃이 흐르는 물에 실려 아득히 떠내려가니

한자
복숭아 / Peach
꽃 / Flower
흐르다 / Flow
물 / Water
아득하다, 희미하다 / Distant, Faint
그러하다 / So, in that way
가다 / Go, Leave
1234567
복숭아 (도)꽃 (화)흐를 (유)물 (수)아득할 (묘)그러할 (연)갈 (거)

🌿 시상 전개 <전구>

이상향으로 향하는 자연을 묘사


別有天地 非人間
(별유천지 비인간)
→ 따로 천지가 있으니 인간 세상이 아니로다.

한자
따로 / Separate, Other
있다 / There is, Exist
하늘 / Heaven
땅 / Earth
~이 아니다 / Not
사람 / Person
사이, 세상 / World, Realm
1423756
다를 (별)있다 (유)하늘 (천)땅 (지)아닐 (비)사람 (인)사이 (간)

🌿 시적 감상 및 맥락 <결구>

→ 번잡한 세상을 떠나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지내는 만족스러운 삶의 모습을 문답의 형식으로 노래하고 있다. 복숭아꽃은 전통적인 이상향인 무릉도원을 상징한다. 이는 속세를 떠난 이상향 또는 자연과 어우러진 낙원의 발견을 표현하는 고전적 시어로, 현실 도피와 심정적 자유,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정신이 깃들어 있습니다.

도연명의 『桃花源記』(도화원기)나 이상향(理想鄕)을 그리는 시 문맥에서 자주 등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