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 허생을 만나다 <허생전>

「허생전」은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수록된 한문 단편 소설이다. 박지원은 이 소설을 통해 조선 후기의 경제 상황과 양반의 무능, 허례허식을 비판하였으며 아울러 實學思想도 나타냈다. 한문 소설의 대표 작품인 「허생전」을 감상해 보자.

오늘 배울 한자 어휘

城中, 長揖, 宣傳, 重言復言, 良民 , 群盜, 山寨, 饒足, 大警, 良民

城中 (성중) – Inside the City

  • 城: ‘성’ (성) / City, castle
  • 中: ‘가운데’ (중) / Middle, center
  • 도시나 성 안쪽을 의미합니다.

長揖 (장읍) – Deep Bow

  • 長: ‘길’ (장) / Long
  • 揖: ‘읍’ (읍) / To bow
  • 두 손을 마주 잡고 높이 들어서 허리를 굽히는 예(禮).

宣傳 (선전) – Propaganda, Promotion

  • 宣: ‘베풀’ (선) / To declare, to spread
  • 傳: ‘전할’ (전) / To transmit, to convey
  • 주의나 주장, 사물의 존재, 효능 따위를 많은 사람이 알고 이해하도록 잘 설명하여 널리 알리는 일.

重言復言 (중언부언) – Redundancy, Repetition

  • 重: ‘무거울’ (중) / Heavy, repeat
  • 言: ‘말씀’ (언) / Word, speech
  • 復: ‘다시’ (부) / Again, moreover
  • 言: ‘말씀’ (언) / Word, speech
  •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함. 

良民 (양민) – Good Citizen

  • 良: ‘어질’ (양) / Good, virtuous
  • 民: ‘백성’ (민) / People
  • 선량한 백성.
  • 조선 시대에, 양반과 천민의 중간 신분으로 천역(賤役)에 종사하지 아니하던 백성.

群盜 (군도) – Band of Thieves

  • 群: ‘무리’ (군) / Group, crowd
  • 盜: ‘도둑’ (도) / Thief
  • 떼를 이룬 도둑의 무리.

山寨 (산채) – Mountain Stronghold

  • 山: ‘산’ (산) / Mountain
  • 寨: ‘진’ (채) / Camp, stronghold
  •  산에 돌이나 목책 따위를 둘러 만든 진터.

饒足 (요족) – Abundance, Sufficient

  • 饒: ‘넉넉할’ (요) / Abundant, plentiful 예) 풍요(豊饒),
  • 足: ‘발’ (족) / Foot, enough
  • 살림이 넉넉하다.

大驚 (대경) – Great Surprise, Shock

  • 大: ‘큰’ (대) / Big, large
  • 驚: ‘놀랄’ (경) / To be surprised, to be shocked
  • 크게 놀람

<허생전> 읽기

1

허생전과 부인
prompt by @hanmumssam

허생은 묵적골(墨積滑)에 살았다. 곧장 남산(南山) 밑에 닿으면, 우물 위에 오래 된 은행나무가 서 있고,은행나무를 향하여 사립문이 열렸는데, 두어 칸 초가는 비바람을 막지 못할 정도였다. 그러나 허생은 글읽기만 좋아하고, 그의 처가 남의 바느질 품을 팔아서 입에 풀칠을 했다. 하루는 그 처가 몹시 배가 고파서 울음 섞인 소리로 말했다.

“당신은 평생 과거(科擧)를 보지 않으니, 글을 읽어 무엇합니까?”

허생은 웃으며 대답했다.

“나는 아직 독서를 익숙히 하지 못하였소.”

“그럼 장인바치 일이라도 못 하시나요?”

“장인바치 일은 본래 배우지 않았는 걸 어떻게 하겠소?”

“그럼 장사는 못 하시나요?”

“장사는 밑천이 없는 걸 어떻게 하겠소?”

처는 왈칵 성을 내며 소리쳤다.

“밤낮으로 글을 읽더니 기껏 ‘어떻게 하겠소?’소리만 배웠단 말씀이오? 장인바치 일도 못한다, 장사도 못 한다면, 도둑질이라도 못 하시나요?”

허생은 읽던 책을 덮어 놓고 일어나면서,……

“아깝다. 내가 당초 글읽기로 십 년을 기약했는데, 인제 칠 년인걸…….”

하고 획 문 밖으로 나가 버렸다.

2

허생전 변씨
prompt by @hanmumssam

허생은 거리에 서로 알 만한 사람이 없었다. 바로 운종가(雲從街)로 나가서 시중의 사람을 붙들고 물었다.

“누가 서울 성중에서 제일 부자요?”

변씨(卞氏)를 말해 주는 이가 있어서, 허생이 곧 변씨의 집을 찾아갔다. 허생은 변씨를 대하여 장읍(長揖)하고 말했다.

“내가 집이 가난해서 무얼 좀 해 보려나 하니, 만 냥을 뀌어 주시기 바랍니다.”

변씨는

“그러시오.”

하고 당장 만 냥을 내주었다. 허생은 감사하다는 인사도 없이 가 버렸다. 변씨 집의 자제와 손님들이 허생을 보니 거지였다. 실띠의 술이 빠져 너덜너덜하고, 갖신의 뒷굽이 자빠졌으며, 쭈그러진 갓에 허름한 도포를 걸치고, 코에서 맑은 콧물이 흘렀다. 허생이 나가자, 모두들 어리둥절해서 물었다.

“저 이를 아시나요?”

“모르지.”

“아니, 이제 하루 아침에, 평생 누군지도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만 냥을 그냥 내던져 버리고 성명도 묻지 않으시다니, 대체 무슨 영문인가요?”

변씨가 말하는 것이었다.

“이건, 너희들이 알 바 아니다. 대체로 남에게 무엇을 빌리러 오는 사람은 으레 자기 뜻을 대단히 선전(宣傳)하고, 신용을 자랑하면서도 비굴한 빛이 얼굴에 나타나고, 말을 중언부언(重言復言)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저 객은 형색은 허술하지만, 말이 간단하고, 눈을 오만하게 뜨며, 얼굴에 부끄러운 기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재물이 없어도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해 보겠다는 일이 작은 일이 아닐 것이매, 나 또한 그를 시험해 보려는 것이다. 안 주면 모르되, 이왕 만 냥을 주는 바에 성명은 물어 무엇을 하겠느냐?”

3

허생은 만 냥을 입수하자, 다시 자기 집에 들르지도 않고 바로 안성(安城)으로 내려갔다. 안성은 경기도, 충청도 사람들이 마주치는 곳이요, 삼남(三南)의 길목이기 때문이다. 거기서 대추 밤 감 배며, 석류 귤 유자 등속의 과일을 모조리 두 배의 값으로 사들였다. 허생이 과일을 몽땅 쓸었기 때문에 온 나라가 잔치나 제사를 못 지낼 형편에 이르렀다. 얼마 안 가서, 허생에게 두 배의 값으로 과일을 팔았던 상인들이 도리어 열 배의 값을 주고 사 가게 되었다. 허생은 길게 한숨을 내쉬었다.

“만 냥으로 온갖 과일의 값을 좌우했으니, 우리 나라의 형편을 알 만하구나.”

그는 다시 칼, 호미, 포목 따위를 가지고 제주도(濟州島)에 건너가서 말총을 죄다 사들이면서 말했다.

“몇 해 지나면 나라 안의 사람들이 머리를 싸매지 못할 것이다.”

허생이 이렇게 말하고 얼마 안 가서 과연 망건 값이 열 배로 뛰어올랐다.

허생은 늙은 사공을 만나 말을 물었다.

“바다 밖에 혹시 사람이 살 만한 빈 섬이 없던가?”

“있습지요. 언젠가 풍파를 만나 서쪽으로 줄곧 사흘 동안을 흘러가서 어떤 빈 섬에 닿았습지요. 아마 사문(沙門)과 장기(長岐)의 중간쯤 될 겁니다. 꽃과 나무는 제멋대로 무성하여 과일 열매가 절로 익어 있고, 짐승들이 떼지어 놀며, 물고기들이 사람을 보고도 놀라지 않습디다.”

그는 대단히 기뻐하며,

“자네가 만약 나를 그 곳에 데려다 준다면 함께 부귀를 누릴 걸세.”

라고 말하니, 사공이 그러기로 승낙을 했다. 드디어 바람을 타고 동남쪽으로 가서 그 섬에 이르렀다. 허생은 높은 곳에 올라가서 사방을 둘러보고 실망하여 말했다.

“땅이 천 리도 못 되니 무엇을 해 보겠는가? 토지가 비옥하고 물이 좋으니 단지 부가옹(富家翁)은 될 수 있겠구나.”

“텅 빈 섬에 사람이라곤 하나도 없는데, 대체 누구와 더불어 사신단 말씀이오?”

사공의 말이었다.

“덕이 있으면 사람이 모인다네. 덕이 없을까 두렵지, 사람이 없는 것이야 근심할 것이 있겠나?”

허생전
prompt by @hanmumssam

4

허생전 군도
prompt by @hanmumssam

이 때, 변산(邊山)에 수천의 군도(群盜)들이 우글거리고 있었다. 각 지방에서 군가를 징발하여 수색을 벌였으나 좀처럼 잡히지 않았고, 군도들도 감히 나가 활동을 못해서 배고프고 곤란한 판이었다. 허생이 군도의 산채를 찾아가서 우두머리를 달래었다.

“천 명이 천 냥을 빼앗아 와서 나누면 하나 앞에 얼마씩 돌아가지요?”

“일 인당 한 냥이지요.”

“모두 아내가 있소?”

“없소.”

“논밭은 있소?”

군도들이 어이없어 웃었다.

“땅이 잇고 처자식이 있는 놈이 무엇 때문에 괴롭게 도둑이 된단 말이오?”

“정말 그렇다면, 왜 아내를 얻고, 집을 짓고, 소를 사서 논밭을 갈고 지내려 하지 않는가? 그럼 도둑놈 소리도 안 듣고 살면서, 집에는 부부의 낙(樂)이 있을 것이죠, 돌아다녀도 잡힐까 걱정을 않고 길이 의식의 요족(饒足)을 누릴 텐데.”

“아니, 왜 바라지 않겠소? 다만 돈이 없어 못 할 뿐이지요.”

허생은 웃으며 말했다.

“도둑질을 하면서 어찌 돈을 걱정할까? 내가 흔히 당신들을 위해서 마련할 수 있소. 내일 바다에 나와 보오. 붉은 깃발을 단 것이 모두 돈을 실은 배이니, 마음대로 가져가구려.”

허생이 군도와 언약하고 내려가자, 군도들은 모두 그를 미친 놈이라고 비웃었다.

이튿날, 군도들이 바닷가에 나가 보았더니, 과연 허생이 삼십만 냥의 돈을 싣고 온 것이었다. 모두들 대경(大警)해서 허생 앞에 줄지어 절했다.

“오직 장군의 명령을 따르겠소이다.”

“너희들, 힘껏 짊어지고 가거라.”

이에, 군도들이 다투어 돈을 짊어졌으나, 한 사람이 백 냥 이상을 지지 못했다.

“너희들, 힘이 한껏 백냥도 못 지면서 무슨 도둑질을 하겠느냐? 인제 너희들이 양민(良民)이 되려고 해도, 이름이 도둑의 장부에 올랐으니, 갈 곳이 없다. 내가 여기서 너희들을 기다릴 것이니, 한사람이 백 냥씩 가지고 가서 여자 하나, 소 한 필을 거느리고 오너라.”

허생의 말에 군도들은 모두 좋다고 흩어져 갔다.

방탈출 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