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한자는 사물의 모양을 본뜬 그림 문자에서 탄생했습니다. 이후 오랜 시간 여러 사람을 거치면서 변화하고 발전해 왔습니다. 하나의 글자만 가지고 새로운 사물이나 생각을 나타내기 어려워지자 무수히 많은 어휘도 생겨났습니다. 이 단원에서는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먼저 배우고, 우리가 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어휘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도 배우게 될 것입니다.
그려서 만든 한자
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는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방법과 기존의 한자를 결합하여 만드는 방법입니다. 바로 상형자와 지사자가 그려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상형자

상형자는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입니다. 예전에는 사물의 모양을 그림으로 표현했습니다. 日(날 일)과 月(달 월)이 그 대표적인 글자입니다. 이 글자들은 해와 달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입니다.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한자를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지사자
상형문자만으로 모든 개념을 문자로 만들 수는 없었습니다. 눈으로 보이는 사물은 상형자의 방법으로 글자를 만들면 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의미는 상형자로 만들 수 없습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두번째 방법이 바로 지사자입니다. 지사자는 눈으로 볼 수 없는 추상적인 생각을 점이나 선으로 나타낸 글자입니다. 예를 들어 ‘위’와 ‘아래’는 구체적인 사물로 존재하는 단어들이 아닙니다. 그러면 ‘위’와 ‘아래’는 어떻게 문자로 표현할까요?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기호가 답입니다. 우리는 현재까지도 위와 아래 등 방향을 나타내는 기호로 ‘→(화살표)’를 사용하지요. 기호가 지사자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옛날에는 ‘上(위 상)’과 ‘下(아래 하)’가 위와 아래를 표시하는 기호였던 것입니다.
어휘의 뜻


日月 (일월) – Sun and Moon
- 日 (일): ‘해’ / Sun
- 月 (월): ‘달’ / Moon
- 「1」 해와 달. 「2」 세월
- 자연의 두 중요한 천체인 해와 달을 나타내며, 시간의 흐름과 밤낮의 주기를 상징합니다.


山川 (산천) – Mountains and Rivers
- 山 (산): ‘산’ / Mountain
- 川 (천): ‘강’ / River
- 「1」 산과 내. 「2」 자연
- 자연의 기본 요소인 산과 강을 의미하며,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환경을 상징합니다.


耳目 (이목) – Ears and Eyes
- 耳 (이): ‘귀’ / Ear
- 目 (목): ‘눈’ / Eye
- 「1」 귀와 눈. 「2」 남들의 주의나 관심
- 사람의 감각 기관인 귀와 눈을 의미하며, 정보를 얻고 세상을 인식하는 중요한 수단을 나타냅니다.


上下 (상하) – Up and Down
- 上 (상): ‘위’ / Up, above
- 下 (하): ‘아래’ / Down, below
- 「1」 위와 아래. 「2」 귀하고 천함. 좋고 나쁨.
- 위치나 순서, 지위 등의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내며, 다양한 상황과 맥락에서의 대비와 구분을 의미합니다.


本末 (본말) – Root and Branch
- 本 (본): ‘근본’ / Root, origin
- 末 (말): ‘끝’ / End, tip
- 「1」 처음과 끝. 「2」 사물의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
- 사물이나 사상의 근본과 그로부터 파생된 결과나 끝을 나타내며, 중요성의 순위나 우선 순위를 의미하는 데 사용됩니다.
상형자 설명 영상
지사자 설명 영상
방탈출 미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