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말로 어떤 상황이나 일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속담을 한역한 성어를 학습함으로써 성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知 본문 알기
燈下不明 (등하불명) – It’s Darkest Under the Lamp
- 燈 (등): 등불 / Lamp
- 下 (하): 아래 / Under
- 不 (불): 아니 / Not
- 明 (명): 밝을 / Bright
📌 뜻: ( 등잔) 밑이 밝지 않음.
→ 가까이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함. / 등잔 밑이 어둡다
📌 예문: 가족의 소중함을 모르는 것은 등하불명이라 할 수 있다.
烏飛梨落 (오비이락) – A Crow Flies and a Pear Falls
- 烏 (오): 까마귀 / Crow
- 飛 (비): 날다 / Fly
- 梨 (이): 배 / Pear
- 落 (락): 떨어지다 / Fall
📌 뜻: 까마귀 날자 (배)가 떨어짐.
→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받음
📌 예문: 우연히 그 자리에 있었을 뿐인데 도둑으로 몰리다니, 오비이락도 이런 일이랴.
同價紅裳 (동가홍상) – Choose the Prettier One If Prices Are the Same
- 同 (동): 같을 / Same
- 價 (가): 값 / Price
- 紅 (홍): 붉을 / Red
- 裳 (상): 치마 / Skirt
📌 뜻: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 같은 조건이면 좋은 물건을 가짐.
📌 예문: 동일한 제품이면 동가홍상으로 더 디자인이 예쁜 걸 고르게 된다.
凍足放尿 (동족방뇨) – Peeing on Frozen Feet
- 凍 (동): 얼다 / Freeze
- 足 (족): 발 / Foot
- 放 (방): 놓다 / Release
- 尿 (뇨): 오줌 / Urine
📌 뜻: 언 발에 (오줌)을 눔.
→ 잠깐 효력이 있을지 모르나 그 효력이 오래가지 못할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사태가 더 나빠짐
📌 예문: 빚을 내서 또 다른 빚을 막는 것은 동족방뇨에 불과하다.
吾鼻三尺 (오비삼척) – My Nose Is Three Feet Long (I’m in Trouble Myself)
- 吾 (오): 나 / I
- 鼻 (비): 코 / Nose
- 三 (삼): 셋 / Three
- 尺 (척): 자 / Measure
📌 뜻: 내 ( 코)가 석 자.
→ 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
→ “내 콧물이 석 자나 늘어졌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으로 자신의 처지도 수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말.
📌 예문: 지금 내 처지도 오비삼척이라 남 도와줄 형편이 아니다.
結者解之 (결자해지) – The One Who Tied It Should Untie It
- 結 (결): 맺다 / Tie
- 者 (자): 사람 / Person
- 解 (해): 풀다 / Untie
- 之 (지): 그것 / It
📌 뜻: 맺은 사람이 (결실)을 풂.
→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예문: 이 사태는 당신이 시작한 일이니 결자해지하라.
目不識丁 (목불식정) – Can’t Recognize Even the Word ‘丁’
- 目 (목): 눈 / Eye
- 不 (불): 아니 / Not
- 識 (식): 알다 / Know
- 丁 (정): 고무래 정 / A very simple character
📌 뜻: 눈으로 보고도 ‘고무래 정(丁)’임을 (알지) 못함. 낫 놓고 기역 자도 모른다.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 글자를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글자를 전혀 모르거나 그러한 사람을 비유한 말
📌 예문: 할아버지는 목불식정이셨지만 삶의 지혜는 누구보다 뛰어났다.
堂狗風月 (당구풍월) – Even a Dog Learns Poetry in a Scholar’s House
- 堂 (당): 집 / Hall
- 狗 (구): 개 / Dog
- 風 (풍): 바람 / Wind
- 月 (월): 달 / Moon
📌 뜻: ( 서당개)가 풍월을 읊음. → 서당에서 기르던 개가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그 분야에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
📌 예문: 책방에서 일하다 보니 나도 당구풍월이라 책을 좀 알게 됐다.
好 재미있는 어휘 신체와 관련된 어휘
얼굴의 생김새가 뚜렷하고 선명한 사람을 가리켜 ‘耳目口鼻가 뚜렷하다.’고 한다. ‘耳目口鼻’란 ‘귀, 눈, 입, 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의 생김새’를 가리키는 말이다. ‘耳目口鼻’처럼 신체와 관련된 한자 어휘를 알아보자.
➤ 耳目口鼻 (이목구비) – Facial features
- 耳 (이): 귀 / Ear
- 目 (목): 눈 / Eye
- 口 (구): 입 / Mouth
- 鼻 (비): 코 / Nose
- 의미: 사람의 얼굴을 이루는 네 가지 주요 기관을 뜻하며, 흔히 얼굴 생김새를 나타낼 때 사용함.
- 예문: 그는 이목구비가 뚜렷한 외모를 가지고 있다.
➤ 面目 (면목) – Face, appearance, dignity
- 面 (면): 얼굴 / Face
- 目 (목): 눈 / Eye
- 의미: 사람의 체면, 체통, 외모 등을 의미함.
- 예문: 이번 일로는 정말 면목이 서지 않는다.
➤ 碧眼 (벽안) – Blue eyes (especially of Westerners)
- 碧 (벽): 푸를 / Blue, jade
- 眼 (안): 눈 / Eye
- 의미: 푸른 눈, 주로 서양인의 눈 색을 지칭할 때 사용됨.
- 예문: 벽안의 외국인이 한국 문화를 공부하고 있다.
➤ 鶴髮 (학발) – White hair (of an old person)
- 鶴 (학): 학 / Crane
- 髮 (발): 머리카락 / Hair
- 의미: 백발, 늙음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됨.
- 예문: 학발의 노인은 아직도 정정하게 일을 하신다.
➤ 比肩 (비견) – Be comparable to, shoulder to shoulder
- 比 (비): 견줄 / Compare
- 肩 (견): 어깨 / Shoulder
- 의미: 서로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능력이나 위치가 비슷함.
- 예문: 그는 세계적인 작가들과도 비견될 만큼 훌륭한 작품을 쓴다.
➤ 膝下 (슬하) – Knees (figuratively: under parental care)
- 膝 (슬): 무릎 / Knee
- 下 (하): 아래 / Under
- 의미: 부모 곁, 특히 어머니 곁을 이르는 말.
- 예문: 아들은 어머니의 膝下를 떠나지 않으려 했다.
➤ 失脚 (실각) – Fall from power, misstep
- 失 (실): 잃다 / Lose
- 脚 (각): 다리 / Leg
- 의미: 권력을 잃거나 지위에서 물러나는 일.
- 예문: 그는 부패 스캔들로 인해 정치적으로 실각했다.
樂 즐거운 문화 산책
절기(節氣)와 관련된 속담
농경 사회였던 한자 문화권에서는 계절의 변화를 잘 알 수 있도록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1년을 스물넷으로 나눈 절기(節氣)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절기는 속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속담에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선인들의 삶의 모습과 지혜가 나타나 있다.
➤ 夏至 (하지) – Summer Solstice
- 夏 (하): 여름 / Summer
- 至 (지): 이를 / Arrive
- 의미: 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시기, 24절기의 하나.
- 예문: 夏至(하지) 지나 열흘이면 구름장마다 비다
➤ 處暑 (처서) – End of Heat
- 處 (처): 머물 / Stop
- 暑 (서): 더위 / Heat
- 의미: 여름 더위가 물러간다는 24절기 중 하나.
- 예문: ‘모기도 處暑(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
➤ 大寒 (대한) – Great Cold
- 大 (대): 크다 / Big
- 寒 (한): 춥다 / Cold
- 의미: 겨울철 가장 추운 시기, 24절기 중 마지막 절기.
- 예문: ‘大寒(대한)이 小寒(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
➤ 小寒 (소한) – Minor Cold
- 小 (소): 작다 / Small
- 寒 (한): 춥다 / Cold
- 의미: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 대한 바로 전의 절기.
- 예문: ‘大寒(대한)이 小寒(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