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한자
⑴ 部首(부수): 자전에서 한자를 찾는 데 기본이 되는 글자로, 한자의 뜻과 관련이 있음.
‘雨’가 부수인 한자는 뜻이 ‘비’나 ‘눈’ 같은 ‘날씨’와 관련이 있음.

한자 “雨”은 ‘비’를 의미하는 글자입니다. 이 글자의 모양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을 형상화한 상형문자입니다. 고대의 사람들이 비가 내리는 모습을 보고, 머리 위로부터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을 단순화하여 표현했습니다. “雨”의 상단 부분은 구름을 나타내며, 하단의 점들은 떨어지는 빗방울을 상징합니다. 이 글자는 비의 중요성과 자연 현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농사를 짓는 데 필수적인 비의 역할을 강조하는 글자로서도 의미가 깊습니다.
雨가 부수인 한자






雨: ‘비(우)’ / Rain
“우”는 하늘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자연 현상을 의미합니다. 강수량, 날씨 패턴 등의 기상 현상과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雲: ‘구름(운)’ / Cloud
“운”은 하늘에 떠 있는 물방울의 집합체로,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나타나며 기상 상태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입니다.
雪: ‘눈(설)’ / Snow
“설”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 붙어 하얀 결정체로 떨어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추운 기후에서 주로 발생하며 겨울철의 대표적인 날씨 현상입니다.
霜: ‘서리(상)’ / Frost
“상”은 기온이 낮아져 대기 중의 수분이 얼어붙어 땅이나 식물 등에 하얀 층을 형성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추운 날씨에서 자주 관찰되며, 식물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露: ‘이슬(로)’ / Dew
“로”는 밤 동안 공기 중의 수증기가 식어서 물방울 형태로 변하여 식물이나 다른 표면에 맺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아침에 풀밭이나 창문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電: ‘번개(전)’ / Lightning
“전”은 구름과 구름, 구름과 지상 사이에서 전기적 방전이 일어나며 밝은 빛과 강한 소리를 동반하는 자연 현상을 의미합니다. 강력한 기상 현상의 일부로, 폭풍우 동안 흔히 발생합니다.
⑵ 부수는 다른 한자와 합쳐질 때 모양이 변하기도 함.
-부수는 글자가 합쳐질 때 글자의 모양을 균형 있게 하려고 변한 것도 있고, 글자를 빠르고 맵시 있게 쓰기 위해 모양이 달라진 것도 있음.



- 人 (인): ‘사람’ / Human
- 余 (여): ‘나머지’ / Excess, surplus
- 伐 (벌): ‘벨’ / To cut, strike



- 刀 (도): ‘칼’ / Knife
- 初 (초): ‘처음’ / First, initial
- 判 (판): ‘판단할’ / To judge, decide



- 心 (심): ‘마음’ / Heart, mind
- 忍 (인): ‘참을’ / To endure, tolerate
- 悟 (오): ‘깨달을’ / To realize, enlighten



- 水 (수): ‘물’ / Water
- 氷 (빙): ‘얼음’ / Ice
- 泣 (읍): ‘울다’ / To weep, cry



- 手 (수): ‘손’ / Hand
- 拜 (배): ‘절하다’ / To bow, salute
- 抱 (포): ‘안다’ / To embrace, h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