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사와 허사를 구별하고 성어를 풀이할 수 있다.
- 성어의 비유적 의미를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 성어의 유래를 이해하여 삶의 다양한 태도와 가치를 탐색할 수 있다.
知 본문 알기
🐍 畵蛇添足 (화사첨족) – 뱀을 그려놓고 발을 더하다

‘화사첨족(畫蛇添足)’은 ‘뱀을 그리고 나서 발을 더하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일을 더해 오히려 일을 그르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이 성어의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옛날 초(楚)나라에서 한 주인이 제사를 지낸 후 하인들에게 술 한 병을 상으로 주었습니다. 그러나 하인들은 모두 술을 마시고 싶어 했지만, 술의 양이 적어 나누기에 부족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땅에 뱀을 가장 빨리 그리는 사람이 술을 마시기로 결정했습니다. 한 하인이 가장 먼저 뱀을 그렸지만, 다른 하인들이 아직 그리고 있는 것을 보고 우쭐한 마음에 뱀에 발을 그려 넣었습니다. 그러는 사이 다른 하인이 뱀을 완성하고 말했습니다. “뱀에는 발이 없는데, 왜 발을 그렸소?” 결국 그 하인은 술을 마실 기회를 놓치고 말았습니다. 이 이야기에서 ‘화사첨족’은 불필요한 행동이 오히려 일을 망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 畵 (화): 그리다
- 蛇 (사): 뱀
- 添 (첨): 더하다
- 足 (족): 발
📌 뜻풀이: 불필요한 것을 덧붙여 일을 망치는 것.
→ 이미 완성된 것에 지나치게 손을 대면 도리어 좋지 않다는 교훈.
📚 고사 유래: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에서, 몇 사람이 술 한 병을 두고 누가 먼저 뱀을 잘 그리나 내기함. 한 사람이 먼저 완성하고도 욕심을 부려 뱀에 발을 그리는 바람에 술을 놓치게 됨.
💬 예문: 발표 내용이 충분했는데 마지막에 너무 많은 정보를 넣어 화사첨족이 되었어.
🐎 塞翁之馬 (새옹지마) – 변방 노인의 말
옛날 북쪽 변방 마을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변방의 노인(塞翁)”이라고 불렀어요. 어느 날, 이 노인의 말 한 마리가 도망쳤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러 왔지만 노인은 말했어요.
“이게 꼭 나쁜 일일지 누가 아는가?”
얼마 후, 도망갔던 말이 더 좋은 야생 말을 데리고 돌아왔습니다. 모두가 축하해줬지만 노인은 말했어요.
“이게 꼭 좋은 일일지 누가 아는가?”
그러자 이번엔 그 말에 노인의 아들이 타다 떨어져 다리를 다치고 말았어요. 사람들이 안타까워하자 노인은 또 말했죠.
“이게 꼭 나쁜 일일까?”
얼마 지나지 않아 전쟁이 일어나 젊은이들이 모두 징병되었는데,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불편해 징집되지 않았고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 塞 (새): 변방
- 翁 (옹): 노인
- 之 (지): 어조사 ~의
- 馬 (마): 말
📌 뜻풀이: 인생은 길흉화복이 예측할 수 없이 바뀌므로 너무 기뻐하거나 슬퍼하지 말라는 의미.
📚 고사 유래:
북쪽 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이 도망쳤지만 더 좋은 말과 함께 돌아오고,
아들이 그 말을 타다 다쳤지만 덕분에 전쟁에 나가지 않아 목숨을 건졌다는 이야기에서 유래.
💬 예문: 시험에 떨어졌다고 낙심하지 마. 그게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어. 새옹지마야!
⚔️ 刻舟求劍 (각주구검) – 배에 새기고 칼을 찾는다
- 刻 (각): 새기다
- 舟 (주): 배
- 求 (구): 찾다
- 劍 (검): 칼
📌 뜻풀이: 변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고지식하게 과거 방식만 고집하는 어리석은 행동.
📚 고사 유래:
어떤 사람이 배 위에서 칼을 떨어뜨리자, 칼이 떨어진 자리를 배에 표시하고
물속에서 그 자리를 찾으려 한 우스꽝스러운 이야기.
💬 예문: 기술이 계속 바뀌고 있는데도 옛날 방식만 고집하다니, 완전 각주구검이야!
🪨 愚公移山 (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
- 愚 (우): 어리석을 / 바보 같은
- 公 (공): 노인
- 移 (이): 옮기다
- 山 (산): 산
📌 뜻풀이: 우직하고 꾸준히 노력하면 아무리 큰 일도 이룰 수 있다는 뜻.
📚 고사 유래:
태항산과 왕옥산이라는 두 큰 산 때문에 불편했던 우공이 자손들과 함께 평생을 걸쳐 산을 옮기기로 결심. 하늘이 그 뜻을 보고 감동하여 신들에게 명해 산을 옮기게 했다는 이야기.
💬 예문: 공부는 힘들지만 꾸준히 하면 우공이산처럼 반드시 좋은 결과가 나올 거야!
🐵 朝三暮四 (조삼모사) – 아침에 셋, 저녁에 넷
춘추전국시대에 송나라의 저공(狙公)이란 사람이 원숭이를 많이 기르고 있었는데 먹이가 부족하게 되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말하기를 “앞으로 너희들에게 주는 도토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로 제한하겠다”고 말하자 원숭이들은 화를 내며 아침에 3개를 먹고는 배가 고파 못견딘다고 하였다. 그러자 저공은 “그렇다면 아침에 4개를 주고 저녁에 3개를 주겠다”고 하자 그들은 좋아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이는 《열자(列子)》 〈황제편(黄帝篇)〉에 나오는 이야기로, 원숭이들은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를 받거나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를 받거나 총 7개를 받는 사실은 변함이 없는데도 4개를 먼저 받는다는 눈앞의 이익에 현혹되어 상대에게 설복당하고, 저공은 같은 개수를 주고도 원숭이들의 불만을 무마할 수 있었다. 여기서 유래하여 조삼모사는 눈앞의 이익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비유하거나 남을 농락하여 자기의 사기나 협잡술 속에 빠뜨리는 행위를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 朝 (조): 아침
- 三 (삼): 셋
- 暮 (모): 저녁
- 四 (사): 넷
📌 뜻풀이:
눈앞의 차이에만 신경 쓰며 본질을 보지 못하는 행동 또는 교묘한 꾀로 남을 속이는 일.
📚 유래:
원숭이를 기르던 사람이 먹이로 도토리를 줄 때,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고 하니 원숭이들이 싫어하고,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라고 하니 좋아했다는 이야기. 실제 총량은 같음.
💬 예문:
정치인들의 말 바꾸기는 결국 조삼모사에 불과하다.
🕯️ 螢雪之功 (형설지공) – 반딧불과 눈으로 이룬 노력
- 螢 (형): 반딧불
- 雪 (설): 눈
- 之 (지): 어조사 ~의
- 功 (공): 공로, 노력
📌 뜻풀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꾸준히 노력하여 이룬 학문이나 성과.
📚 유래:
진나라 차윤은 반딧불 수십 마리를 잡아 불빛 삼아 공부했고, 손강은 눈빛에 비추어 책을 읽으며 학문을 닦았다는 이야기에서 유래.
💬 예문:
그의 성공은 단순한 재능이 아니라 철저한 형설지공의 결과다.
🎶 伯牙絶絃 (백아절현) –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다
지기지우(知己之友)’는 “자기를 알아주는 친구”라는 뜻으로, 서로의 깊은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한 친구를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중국의 유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춘추시대, 초나라의 백아(伯牙)는 거문고의 명수였고, 그의 친구인 종자기(鍾子期)는 음악을 깊이 이해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백아가 거문고를 연주할 때, 종자기는 그의 음악을 듣고 산을 묘사하는지, 물을 묘사하는지를 정확히 알아차렸습니다. 백아는 종자기가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있음을 깨닫고, 그를 ‘지기지우’라고 여겼습니다. 그러나 종자기가 세상을 떠나자, 백아는 더 이상 거문고를 연주하지 않았습니다. 그를 이해해주는 진정한 친구가 없다는 슬픔 때문이었습니다.
- 伯 (백): 맏
- 牙 (아): 어금니
- 絶 (절): 끊다
- 絃 (현): 줄
📌 뜻풀이:
참된 친구의 죽음을 슬퍼하며 다시는 그런 벗을 만나지 못함을 탄식함.
📚 유래: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는 그 뜻을 잘 알아주는 친구였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이제 내 음악을 알아줄 사람이 없다”며 거문고 줄을 끊었다고 함.
💬 예문:
오랜 친구가 세상을 떠나자 그는 마치 백아절현처럼 깊은 슬픔에 잠겼다.
🍃 風樹之歎 (풍수지탄) – 바람 부는 나무의 슬픔
- 風 (풍): 바람
- 樹 (수): 나무
- 之 (지): 어조사 ~의
- 歎 (탄): 탄식, 슬픔
📌 뜻풀이:
부모에게 효도하고 싶지만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는 슬픔.
📚 유래: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은 효도하고자 하나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문장에서 비롯된 말.
💬 예문: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 그는 매년 차례를 지내며 풍수지탄의 마음으로 눈물을 흘렸다.
好 재미있는 어휘 동물과 관련된 어휘
禽獸 (금수) – Birds and Beasts
禽 (금): ‘날짐승’ / Bird
獸 (수): ‘짐승’ / Beast
단어의 뜻: 새와 짐승, 동물 전체를 이르는 말. 또는 사람답지 못한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문: 그는 인간으로서 할 수 없는 짓을 한 금수 같은 행동을 했다.
龜鑑 (귀감) – Model, Example
龜 (귀): ‘거북’ / Turtle
鑑 (감): ‘거울, 본보기’ / Mirror, model
단어의 뜻: 거북이와 거울. 본받아야 할 모범이나 교훈이 되는 대상.
예문: 선생님의 삶은 후배들에게 큰 귀감이 된다.
蜂起 (봉기) – Uprising, Revolt
蜂 (봉): ‘벌’ / Bee
起 (기): ‘일어나다’ / Rise
단어의 뜻: 벌떼처럼 떼를 지어 들고일어남. 주로 사회적 저항이나 반란을 표현.
예문: 시민들이 정부 정책에 반대하며 거리로 봉기하였다.
龍顔 (용안) – Emperor’s Face
龍 (용): ‘용’ / Dragon
顔 (안): ‘얼굴’ / Face
단어의 뜻: 용의 얼굴. 임금의 얼굴.
예문: 황제의 용안을 직접 뵙는 것은 큰 영광이었다.
頭角 (두각) – Distinctive Talent
頭 (두): ‘머리’ / Head
角 (각): ‘뿔’ / Horn
단어의 뜻: 짐승의 머리에 있는 뿔. 뛰어난 재능이나 실력을 드러냄.
예문: 그는 수학 경시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長蛇陣 (장사진) – Long Line (Snake Formation)
長 (장): ‘길다’ / Long
蛇 (사): ‘뱀’ / Snake
陣 (진): ‘진, 줄’ / Line, formation
단어의 뜻: 뱀이 긴 줄처럼 늘어선 것. 줄이 길게 선 모양.
예문: 새로 개장한 맛집 앞에는 사람들의 장사진이 펼쳐졌다.
胡蝶夢 (호접몽) – Butterfly Dream (Illusion vs. Reality)
胡 (호): ‘오랑캐’ / How
蝶 (접): ‘나비’ / Butterfly
夢 (몽): ‘꿈’ / Dream
단어의 뜻: 나비에 관한 꿈. 인생의 덧없음. 장자의 꿈 이야기에서 유래.
예문: 지금 겪고 있는 일이 정말인지 꿈인지 호접몽 같다.
樂 즐거운 문화 산책
‘文字圖’로 알아보는 ‘孝’ 이야기

‘文字圖’는 글자의 의미와 관계있는 고사의 소재를 이용해 서체를 구성한 그림을 말한다. ‘孝’ 문자도의 소재와 그에 담긴 옛이야기를 알아보자.
- 죽순 : 맹종(孟宗)이 한겨울에 어머니를 위해 죽순을 구하려 한 이야기.
- 잉어 : 왕상(王祥)이 어머니가 한겨울에 물고기를 먹고 싶어 하자 얼음을 깨고 물고기를 구하려 한 이야기.
- 부채 : 황향(黃香)이 무더운 여름날 아버지의 침상에서 부채질한 이야기.
- 거문고 : 순(舜)임금이 거문고를 연주해 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렸다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