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 역사 속 성어 │어휘 만들기 多, 歌│어휘 활용하기

9과 역사 속 성어 세번째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어휘만들기, 多와 歌가 들어간 단어를 학습해 보겠습니다. 多는 多多益善에서, 歌는 四面楚歌에서 학습한 한자입니다. 아울러 어휘 활용하기 부분에서는 歷史, 由來, 故事成語라는 어휘를 학습해보겠습니다.

어휘 만들기 多

多 @한문쌤
한자 '多'는 '많다', '낫다', 또는 '겹치다'라는 뜻을 가지며, 이는 '肉'(고기 육)자가 겹쳐진 형태로 표현되었습니다. 고기가 2개가 놓여있는 그림으로 겹쳐진 모양을 통해 여러 개 또는 많은 수를 나타냅니다.

多才 (다재) – Multi-talented

  • 多 (다): ‘많을’ / Many, much
  • 才 (재): ‘재주’ / Talent, ability
  • 재주가 많음. “다재”는 여러 가지 재능이나 능력을 가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음악, 미술,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을 ‘다재다능한 사람’이라고 합니다.

多幸 (다행) – Much Happiness

  • 多 (다): ‘많을’ / Many, much
  • 幸 (행): ‘행운’ / Happiness, fortune
  • 뜻밖에 일이 잘되어 운이 좋음. “다행”은 많은 행운이나 행복을 누리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종종 운 좋은 상황이나 결과에 대해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다행히도 일이 잘 풀렸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多種 (다종) – Many Kinds

  • 多 (다): ‘많을’ / Many, much
  • 種 (종): ‘씨’ / Seed, type
  •  종류가 많음. 또는 그 종류. “다종”은 여러 종류나 형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종류의 책, 식물, 또는 아이디어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이는 종종 생물학적 분류나 제품 라인업에도 적용됩니다.

多量 (다량) – Large Quantity

  • 多 (다): ‘많을’ / Many, much
  • 量 (량): ‘헤아릴’ / Quantity, amount
  •  많은 분량. “다량”은 많은 양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대량 생산 또는 대용량 저장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 표현은 종종 산업 또는 과학적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多難 (다난) – Many Difficulties

  • 多 (다): ‘많을’ / Many, much
  • 難 (난): ‘어려울’ / Difficult, hard
  • 힘들고 어려운 일이 많다. “다난”은 많은 어려움이나 문제를 겪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개인의 삶에서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어휘 만들기 歌

歌 @한문쌤
한자 "歌"는 '노래하다', '가락', '노래' 등의 뜻을 가진 글자다. 이 글자는 哥(노래 가)자와 欠(하품 흠)자가 결합된 모습이다. 哥는 형제나 동료들이 함께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나타내며, 欠자는 입을 벌리고 소리를 내는 모습을 상징한다. 이 결합은 사람들이 입을 벌리고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나타내어, '노래'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歌舞 (가무) – Song and Dance

  • 歌 (가): ‘노래’ / Song
  • 舞 (무): ‘춤출’ / Dance
  • 노래와 춤. “가무”는 노래와 춤을 함께 즐기는 예술 형태를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 축제나 연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軍歌 (군가) – Military Song

  • 軍 (군): ‘군대’ / Military
  • 歌 (가): ‘노래’ / Song
  • 군대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하여 부르는 노래 “군가”는 군대의 정신을 고취하거나 군인들의 사기를 북돋우는 노래를 의미합니다. 이 노래들은 보통 애국적이고 격려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歌曲 (가곡) – Song, Musical Piece

  • 歌 (가): ‘노래’ / Song
  • 曲 (곡): ‘곡’ / Piece, tune
  • 우리나라 전통 성악곡의 하나 “가곡”은 노래나 음악 작품을 일컫는 말로, 특히 서정적이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음악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祝歌 (축가) – Celebratory Song

  • 祝 (축): ‘축하할’ / Bless, celebrate
  • 歌 (가): ‘노래’ / Song
  • 축하의 뜻을 담은 노래. “축가”는 결혼식이나 기념식 등 특별한 행사에서 축하의 의미를 담아 부르는 노래를 의미합니다. 이 노래는 행사의 분위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줍니다.

어휘 활용하기

歷史나 이야기에서 由來한 故事成語는 이야기의 내용이나 배경을 알면 성어의 의미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歷史 (역사) – History

  • 歷 (역): ‘지낼’ / Pass through, experience
  • 史 (사): ‘역사’ / History
  • 인류 사회의 변천과 흥망의 과정. 또는 그 기록. “역사”는 과거의 사건이나 활동의 기록을 의미합니다. 인류의 경험과 문화적, 사회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학문 분야입니다.

由來 (유래) – Origin, Reason

  • 由 (유): ‘말미암을’ / Reason, cause
  • 來 (래): ‘올’ / Come, origin
  • 사물이나 일이 생겨남. 또는 그 사물이나 일이 생겨난 바. “유래”는 어떤 사물이나 관습이 시작된 기원이나 배경을 설명합니다. 문화적, 역사적 사건의 시작점을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故事成語 (고사성어) – Idiomatic Phrase from Historical Stories

  • 故 (고): ‘옛’ / Old, former
  • 事 (사): ‘일’ / Matter, event
  • 成 (성): ‘이룰’ / Achieve, complete
  • 語 (어): ‘말씀’ / Speak, language
  •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한자로 이루어진 말. “고사성어”는 역사적 사건이나 전설에서 유래한 격언이나 표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표현은 교훈, 경고, 또는 특정 상황의 본질을 간결하게 전달합니다.

Click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