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역사를 담은 성어 함흥으로 간 차사
知 본문 알기 咸興差使 (함흥차사) – The Envoy Who Never Returns 조선후기에 지어진 야담(野談)집인 『축수편(逐睡篇)』에 전하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1398년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亂)에 울분하여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다. …
한문 수업 자료
知 본문 알기 咸興差使 (함흥차사) – The Envoy Who Never Returns 조선후기에 지어진 야담(野談)집인 『축수편(逐睡篇)』에 전하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1398년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亂)에 울분하여 태조 이성계는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함흥으로 가버렸다. …
知 본문 알기 🐍 畵蛇添足 (화사첨족) – 뱀을 그려놓고 발을 더하다 ‘화사첨족(畫蛇添足)’은 ‘뱀을 그리고 나서 발을 더하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일을 더해 오히려 일을 그르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이 성어의 유래는 다음과 …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성어 중에는 역사적 事件사건이나 逸話일화로부터 전해진 것이 많다. 그중에서도 여러 왕조의 交替교체를 겪으며 변화를 거듭한 중국의 역사에서 유래한 성어를 통해 당시의 생생한 역사 현장을 經驗경험해 보자. 1. 國士無雙 …
6. 人無遠慮 必有近憂 (인무원려 필유근우) 📌 뜻풀이: 사람이 앞날을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눈앞에 반드시 걱정이 생기게 된다는 말. 📌 예문식 해석: 앞을 내다보는 지혜가 없으면, 당장 어려움을 겪게 된다. 7. …
속담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말로 어떤 상황이나 일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속담을 한역한 성어를 학습함으로써 성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조상들의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知 …
• 어리석음을 경계하는 선인들의 지혜를 마음에 새겨 건전한 가치관을 기르기• 한자 성어의 속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활용하기• 일상에서 쓰이는 한자 성어의 뜻을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활용하기 守株待兎 (수주대토) – …
作心三日 (작심삼일) – Resolve Lasting Only Three Days 📌 단어의 뜻: 결심이 오래가지 못하고 쉽게 변하는 것.📌 예문: 새해 목표를 작심삼일로 끝내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龍頭蛇尾 (용두사미) – A Grand …
看過 (간과) – Overlook, Ignore 白眉 (백미) – The Best of the Best 相殺 (상쇄) – Offset, Cancel Out 助長 (조장) – Encourage (Sometimes in a Negative Way) 脚光 (각광) …
이 단원에서는 선인들의 효도 정신을 마음에 새겨 건전한 가치관을 기릅니다. 한자 성어의 속뜻과 유래를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확용하며, 일상에서 쓰이는 한자 어휘의 뜻을 이해하여 맥락에 맞게 활용하는 법을 학습니다. 望雲之情 …
數 (수) – Numbers 色 (색) – Colors 軟豆 (연두) – Light Green, Soft Green 紅一點 (홍일점) – A Single Red Spot / The Only Woman in 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