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로울 ‘의(義)’: 한산대첩의 의의(意義)를 다시 보다


최근에 개봉한 영화 <한산>에서 이순신 장군이 한 대사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상 깊게 다가왔습니다. 그것은 이 전쟁은 “나라와 나라의 싸움이 아닌 의(義)와 불의(不義)의 싸움”이라는 것이었습니다. 오늘은 이 한자 ‘의(義)’에 대해 더 깊이 들여다보겠습니다.

‘義(의)’의 구성

한자 ‘의(義)’는 𦍌(양 양)과 我(나 아)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기서 양은 올바르고 의로운 행사로 간주되며, 제사의 희생물로 사용되곤 했습니다. 일설에 의하면 ‘我(나 아)’는 삼지창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의(義)’는 삼지창에 양머리를 꽂아 제사를 지내는 모양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4단(四端)의 ‘義(의)’

‘의(義)’는 동양 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4단(四端)과 오상(五常) 중의 하나입니다. 여기서 ‘의(義)’는 수오지심(부끄러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의 발로로, 옳은 일을 위해 행동하는 마음을 상징합니다.

맹자 사진

4단(四端): 맹자의 인간 본성의 원리

4단(四端)은 중국 고대 철학자 맹자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된 선한 본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개념입니다. 4단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원리로 구성됩니다.

  1. 仁(인): 측은지심
  • ‘인(仁)’은 측은하게 여기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자연스럽게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도움을 주려는 성향을 나타냅니다.
  1. 義(의): 수오지심
  • ‘의(義)’는 부끄러워하고 싫어하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올바르지 않은 행동이나 불의에 대해 부끄럽고 싫어하는 감정을 상징합니다.
  1. 禮(예): 사양지심
  • ‘예(禮)’는 거절하고 양보하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사회적인 예의와 규범, 도덕을 지키려는 성향을 나타내며, 다른 이의 의견이나 위치를 존중하는 태도를 포함합니다.
  1. 智(지): 시비지심
  • ‘지(智)’는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이성과 판단을 통해 올바른 행동과 선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한자영어
인(仁), 인간애Benevolence, Kindness
의(義), 정의Righteousness, Justice
예(禮), 예의Propriety, Etiquette
지(智), 지혜Wisdom, Intelligence

“맹자(孟子)”에서 언급되는 네 가지 덕목으로, 각각 “인(仁)”은 인간애, “의(義)”는 정의, “예(禮)”는 예의, “지(智)”는 지혜를 나타냅니다. 이 네 가지 덕목은 인간의 덕과 도리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하며, 종종 지혜로운 생활과 사회적 행동을 표방하는 데 사용됩니다.

4단과 인간 본성 그리고 성선설(性善說)

맹자는 이 4단이 인간의 본성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즉,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이 네 가지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발전시키고 실천하면 선한 사회와 인간 관계를 만들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것이 맹자가 말하는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고 하는 성선설의 근거입니다.

하지만 이 4단을 보존하지 못하면 세상이 어지럽고 흉악한 일이 발생한다고 맹자는 경고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이 4단의 원리를 바탕으로 도덕과 윤리를 실천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불선(不善)과 불의(不義)

동양사상에서 선(善)의 반대는 악(惡)이 아닌 불선(不善), ‘의(義)’의 반대는 불의(不義)로 표현됩니다. 이것은 ‘한산’에서의 이순신 장군의 말처럼 의와 불의의 대결로 이해됩니다.

이순신 장군과 의(義)

영화 ‘한산’에서 이순신 장군은 일본을 불의(不義)로 규정하고, 이것은 단순한 나라와 나라의 전쟁이 아니라, 전범국가 대 평화를 지키는 나라 간의 싸움으로 그립니다. 장군의 의로운 싸움은 불의에 맞서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지킨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