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4 도덕) 道(도) / 自(자) / 孝(효) / 良(양) 1단원 도덕 공부 행복한 우리

道(도) / 自(자) / 孝(효) / 良(양)

도덕이란 무엇인지 생활 속에서 살펴봅시다.

내 물건은 내가 정리하고 방 청소도 스스로 합니다. – 자주-

부모님께 아침저녁으로 인사를 드리고 기쁘게 해 드리려고 노력합니다. -효도-

  • 道德(도덕):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및 그에 맞는 행위.
  • 自主(자주): 남의 보호나 간섭을 받지 않고 자신의 일을 스스로 처리함.
  • 孝道(효도): 부모를 정성껏 잘 섬기는 일. 또는 그런 도리.
  • 良心(양심): 도덕적인 가치를 판단하여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깨달아 바르게 행하려는 의식

道(길·도리, 도)

  • 자는 ‘길’이나 ‘도리’, ‘이치’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 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首(머리 수)자가 결합한 모습이다.首자는 ‘머리’라는 뜻이 있다. 道자는 길을 뜻하는 辶자에 首자를 결합한 것으로 본래의 의미는 ‘인도하다’나 ‘이끌다’였다. 그러나 후에 ‘사람이 가야 할 올바른 바른길’이라는 의미가 확대되면서 ‘도리’나 ‘이치’를 뜻하게 되었다.
  • : 途(길, 도), 路(길, 로)

<예시 단어>

  • 도로(道路): 사람이나 차가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좀 넓은 길.
  • 도덕(道德):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및 그에 맞는 행위.
  • 도리(道理): 사람이 마땅히 행하여야 할 바른 길.
  • 수도(水道): 수돗물을 받아 쓸 수 있게 만든 시설.
  • 도구(道具): 일에 쓰는 여러 가지 연장.

문제풀기

1. ‘도(道)’가 들어간 단어가 아닌 것은?






2. ‘도덕(道德)’과 비슷한 뜻의 어휘는?






3. ‘도덕(道德)’이란 가치에 부합하지 않은 것은?






1. 道(길·도리, 도)

  • 辶 [辵,辶,⻎] (책받침2, 4획)
  • 辶(쉬엄쉬엄 갈 착) + 首(머리 수)
  • 13획

2. 회의문자

道자는 ‘길’이나 ‘도리’, ‘이치’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道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首(머리 수)자가 결합한 모습이다.首자는 ‘머리’라는 뜻이 있다. 道자는 길을 뜻하는 辶자에 首자를 결합한 것으로 본래의 의미는 ‘인도하다’나 ‘이끌다’였다. 그러나 후에 ‘사람이 가야 할 올바른 바른길’이라는 의미가 확대되면서 ‘도리’나 ‘이치’를 뜻하게 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여기에 寸(마디 촌)자를 더한 導(이끌 도)자가 ‘인도하다’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3. 필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675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37pixel, 세로 214pixel

4. 단어와 성어

  • 횡단보도(橫斷步道): 안전표지에 따라 보행자가 그곳을 지나 차도를 횡단하도록 정해져 있는 도로의 부분.
  • 안빈락도(安貧樂道): 가난 속에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道)를 즐김.
  • 도청도설(道聽塗說):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소문.
  • 극악무도(極惡無道): 더없이 악하고 도리에 완전히 어긋남.
  • 언어도단(言語道斷): 말문이 막힌다는 뜻으로, 어이가 없어 이루 말로 나타낼 수 없음을 이르는 말.